Artist
구본주는 1992년 홍익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해 이듬해 MBC 한국구상조각대전 대상, 95년 모란미술작가상을 수상하며 차세대 구상 조각가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격동의 80년대 후반, 대학생이었던 작가는 사회변혁을 절실하고 당면한 일로 생각하여 홍익대학교 총학생회장단에 출마하는 등 적극적으로 학생정치운동에 참여했다. 노동미술연구소에서 일하며 노동조합의 문화 교육, 노보 발행, 파업 현장 소품 제작 등을 지원하기도 했다. 노동운동의 중심에 서 있었던 이 시기의 작품들은 현장에서 경험한 내용을 나무, 흙 등으로 거칠게 기록하듯 제작되었으며 리얼리즘에 대한 그의 고민을 반영한다.
정치,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은 90년대 중반에 들어서며 ‘사람’으로 이어진다. 혼란스러운 정치, 사회, 경제적 상황에서 좌절되고 억눌린 소시민에게 그의 시선은 연민과 사랑으로 닿는다. 초기 작업에 등장하던 노동자상은 아버지상으로 전환되며, 가정의 중심이지만 사회에서는 주변인인 상반된 모습을 서술적이고 회화적으로 표현했다. 대담한 규모와 극적인 표현기법으로 담아낸 애환과 상처는 희화화되어있지만, 동시에 날 선 사회비판의 시도였다. 민중미술이 지향하는 미술의 진정한 민주화는 대중 속에서 미술이 함께 살아 숨 쉬는 때라 믿던 그의 신념은 작가의 짧고 굵은 생에 걸쳐 드러난다.
GU Bonju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Sculpture at Hongik University in 1992. After receiving MBC’s Korean Figurative Sculpture Exhibition Prix the following year, and the MORAN Artist’s Prize in 1995, he came into notice as a figurehead for the next generation of figurative sculptors. As a university student caught in the turbulence of the late eighties, GU believed that social change was an urgent and pressing matter, and became an enthusiastic participant in student political activities, including campaigning for president of the student council. While working at the Union Art Research Center, he supported the union’s cultural education, union publications, and the production of equipment for onsite strikes. Works from this period, where he was standing at the forefront of the labor movement, are hewn roughly in wood and clay, as though recording his experiences from the field, and reflect his deliberations on realism.
His view of a working class people frustrated and repressed by chaotic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s is warm with sympathy and love. Sculptures of laborers become sculptures of fathers, their contradictory image as the center of the family yet pushed to the margins of society expressed in a painterly and narrative manner. Their joys, sorrows and wounds, captured in a dramatic expressive technique and at a rather audacious scale, are both a caricature and a knife-edge endeavor toward social criticism. GU’s belief that the true democracy that Minjung Art aimed for lived and breathed among the public alongside art is revealed through his short but charged life.